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피내 주사 간호 (정의, 방법, 주의사항, 간호 및 환자 교육)

by ddonglebubu3 2025. 2. 13.

피내주사를 하는 모습

피내주사는 피부의 진피층에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결핵 검사, 알레르기 반응 검사, 백신 접종 등에 사용됩니다. 피내주사는 다른 주사 방법에 비해 비교적 적은 양의 약물을 사용하며 정확한 기술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피내주사의 정의, 시술 방법, 주의사항 및 간호 과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피내 주사 간호: 정의

피내주사는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표피 아래 진피층에 소량의 약물을 주입하는 주사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0.1~0.5mL 정도의 약물을 주입하며 약물이 서서히 흡수되도록 합니다. 피내주사의 목적은 첫 번째로 면역 반응 검사입니다. 결핵 검사(투베르쿨린 반응 검사, PPD 검사), 백신 접종을 위해 사용됩니다. 두 번째는 알레르기 반응 검사로 특정 항원에 대한 알레르기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세 번째는 국소 마취제 주입 시에 사용되며 피부과적 시술이나 통증 조절 목적으로 이용됩니다. 네 번째는 백신 접종으로 일부 백신은 피내주사 방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사용됩니다.

피내 주사 간호: 방법

피내 주사 시 필요한 준비물은 1mL 주사기(인슐린 주사기 사용 가능)와 26~27 게이지(G) 피내주사용 주사바늘, 알코올 솜 또는 소독제, 멸균 장갑, 약물(결핵 반응 검사액, 알레르기 항원 등), 반창고 (필요시) 등이 있습니다. 피내주사 시술 절차로 먼저 손을 씻은 후 장갑 착용을 하여 감염 예방을 위해 철저한 위생 관리를 해줍니다. 다음으로 주사 부위를 선택하는데 일반적으로 전완부 내측(팔의 안쪽 부위)이 가장 흔히 사용되며 등 상부나 쇄골 아래도 가능합니다. 주사 부위를 알코올 솜으로 원을 그리며 닦고 건조해 피부 소독을 해준 후 피내주사 전용 주사기를 사용하며 약물을 정확한 용량으로 채웁니다. 소독을 한 부위에 주사 바늘 삽입하는데 바늘을 피부에 10~15도 각도로 삽입하며 바늘 끝이 피부 아래 진피층에 위치해야 합니다. 바늘 삽입 시 피부 표면에 소량의 저항감이 느껴지며 바늘 끝이 너무 깊이 들어가면 안 됩니다. 약물 주입을 할 때는 천천히 주입하며 약물이 피부 아래에 머물면서 작은 팽윤(Blister, Wheal)이 형성되는지 확인합니다. 팽윤이 형성되지 않는다면 피내주사가 아닌 피하주사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다시 시도해야 합니다. 약물을 투약 후 바늘을 천천히 빼고 주사 부위를 문지르지 않아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주사 부위를 관찰하며 환자에게 알레르기 반응 발생 가능성을 설명합니다. 결핵 검사(TB Test)의 경우 48~72시간 후 결과 확인이 필요합니다.

피내 주사 간호: 주의사항

피내 주사 시 주의사항으로 첫 번째는 올바른 주사 방법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바늘의 삽입 깊이가 너무 깊거나 얕으면 안 됩니다. 약물이 피내층에 정확히 주입되었는지 확인하고 피부에 0.5cm 이하의 작은 팽윤이 형성되는지 확인합니다. 주사 후 부위를 문지르지 않도록 환자에게 주의시킵니다. 두 번째는 감염 예방 및 위생 관리입니다. 무균적 방법으로 주사기를 준비하고 피부 소독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 한 환자에게 사용한 주사기는 절대 재사용하지 않으며 폐기 시 의료폐기물 처리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세 번째는 알레르기 및 부작용 반응 확인입니다. 주사 후 알레르기 반응(발진, 가려움, 부종, 호흡 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즉시 대응할 준비를 해야 합니다. 결핵 검사 시행 후 환자에게 48~72시간 후 재방문하여 판독받아야 함을 안내합니다. 마지막으로 금기 사항은 심한 피부 감염이 있는 부위에는 주사를 피해야 합니다. 면역 저하 환자의 경우 면역 반응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어 사전에 의료진과 상담해야 합니다. 그리고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경우 사전에 의사와 상의 후 피내주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피내 주사 간호: 간호 및 환자 교육

피내 주사를 할 때 간호사의 역할은 정확한 주사 기술을 적용하여 올바른 위치에 피내주사를 시행합니다. 주사 후 부작용이나 이상 반응을 즉시 파악하고 적절한 대처를 합니다. 그리고 환자에게 검사 후 추후 관리 방법과 결과 확인 일정을 안내합니다. 환자 교육도 히야하는데 주사 부위를 문지르지 말도록 하고 결과 확인 일정 준수하여 48~72시간 내 병원 방문하여 결과 판독을 받아야 함을 설명합니다. 알레르기 반응을 주의하여 붓기, 가려움, 호흡 곤란 발생 시 즉시 병원 방문하도록 합니다.

결론

피내주사는 비교적 간단한 주사 방법이지만 정확한 위치와 올바른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피내주사를 올바르게 시행하지 않으면 결과의 신뢰도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부작용이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특히 결핵 검사와 알레르기 반응 검사는 환자의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의료진은 주사 후 부작용을 철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따라서 피내주사 간호 과정에서 철저한 감염 예방, 정확한 기술 적용, 환자 교육이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