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석은 신부전 환자의 혈액에서 노폐물과 과잉 수분을 제거하는 치료법입니다. 신장이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할 때 시행되며 혈액투석(HD)과 복막투석(PD)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투석 전 간호술기는 환자의 안전과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환자의 신체 상태를 점검하고 투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간호사의 주요 역할입니다.
투석 전 간호사의 역할: 혈액투석 전
혈액투석은 환자의 혈액을 체외로 빼내어 투석기로 정화한 후 다시 체내로 돌려보내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감염, 저혈압, 출혈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철저한 사전 준비가 필요합니다. 첫 번째는 투석 혈관(Access) 점검 및 관리입니다. 혈액투석을 위해 동정맥루나 동정맥 이식편 그리고 중심정맥 카테터(CVC) 등이 사용됩니다. 동정맥루는 동맥과 정맥을 직접 연결한 혈관이고 동정맥 이식편은 합성 혈관을 삽입하여 동맥과 정맥을 연결한 것을 말합니다. 중심정맥 카테터는 응급 시 목, 가슴, 사타구니에 삽입한 카테터를 말합니다. 사전 점검 사항으로 손 씻기 및 감염 예방 수칙 준수하고 청진을 통해 혈관 잡음(Thrill)을 확인하여 정상적인 혈류가 있는지 평가합니다. 그다음 촉진하여 진동(Thrill) 또는 맥박을 확인합니다. 이때 동정맥루 혈관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동정맥루가 있는 팔로 혈압 측정하는 것은 금지이고 채혈도 금지입니다. 혈관 유지 관리를 위해 혈관에 무리한 압력 가하면 안 되고 혈관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하며 혈관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은 압박을 피해야 합니다. 두 번째는 활력징후 및 신체 사정으로 혈액투석 전 환자의 상태를 점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필수 체크 항목으로 고혈압 또는 저혈압 여부를 확인하고 체온 측정을 통해 감염 가능성을 확인합니다. 그 외에 활력징후로 맥박, 호흡수, 산소포화도를 측정합니다. 그다음 체중을 확인하는데 투석 전 체중과 비교하여 제거할 수분량을 계산하고 신체의 발목, 다리, 손가락 등 부종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세 번째는 혈액 검사 및 투석 전 약물 관리로 투석 전 환자의 혈액 상태를 점검하여 이상이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주요 혈액 검사 항목으로는 BUN(혈중 요소질소), 크레아티닌(Cr)을 통해 신장 기능을 확인하고 칼륨, 나트륨, 칼슘, 인을 통해 전해질 불균형을 확인합니다.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을 통해서도 빈혈 여부를 확인하고 응고 검사(PT, aPTT)를 통해 출혈 위험을 평가합니다. 투석 전 약물도 조정해야 합니다. 혈압약(항고혈압제)은 투석 중 저혈압 예방을 위해 일부 중단이 가능하고 인 결합제는 복용 시점 조절이 필요합니다. 헤파린 투여 여부는 혈전 예방을 위해 확인합니다. 네 번째는 투석 기계 및 장비 점검으로 투석 전에 투석 기계를 점검하여 원활한 치료가 가능하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투석기와 혈액 여과막 점검을 하고 투석액(Dialysate) 농도 및 온도를 확인하고 기계 이상 여부를 체크합니다.
투석 전 간호사의 역할: 복막투석 전
복막투석은 환자의 복강 내에 투석액을 주입하여 노폐물을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자가 관리가 가능하여 가정에서 시행할 수도 있지만 감염 예방이 필수적입니다. 먼저 복막투석 카테터 관리입니다. 복막투석은 복막 카테터(PD Catheter)를 통해 시행되므로 카테터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감염 예방을 위한 간호술기로 카테터 삽입 부위 청결 유지, 멸균 드레싱 적용 및 교체, 감염 징후(발적, 통증, 부종, 고름) 확인, 손 위생이 있습니다. 두 번째는 투석액 준비 및 주입 전 확인 사항으로 복막투석액이 오염되면 복막염이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 투석액 점검 사항으로는 투석액이 혼탁하거나 이물질이 없는지 확인하고 투석액 온도를 37℃로 유지 (차가우면 복부 경련 유발) 해야 합니다. 투석액 교체 시에는 손 위생 및 무균술 준수해야 합니다. 세 번째로 환자의 상태 평가를 하는데 복막투석 전 신체 상태 점검은 필수입니다. 복부 팽만 및 통증 여부를 확인하고 호흡곤란 여부를 체크하며 체중을 측정하여 과도한 수분 제거 여부를 확인합니다.
투석 전 간호사의 역할: 간호사의 역할
투석 전 간호사는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점검하고 투석이 안전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역할을 합니다. 첫 번째로 환자 교육을 합니다. 혈액투석 환자에게는 혈관을 관리하는 방법과 저염 및 저칼륨 식이를 교육하고 투석 중 저혈압 예방 방법을 안내해야 합니다. 복막투석 환자에게는 손 위생과 카테터 관리 그리고 감염 예방 방법을 교육합니다. 두 번째는 합병증 예방을 교육해야 합니다. 저혈압, 감염, 출혈 등의 문제 예방을 위해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하고 비정상적인 징후 발견 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세 번째는 정서적 지지로 투석 치료는 장기적으로 진행되어 환자가 심리적 부담을 느낄 수 있습니다. 긍정적인 동기 부여나 상담을 제공하여 투석 환자에게 정서적인 지지를 줄 수 있습니다.
결론
투석 전 간호술기는 환자의 안전과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혈액투석과 복막투석 각각의 절차에 맞춰 혈관 및 카테터 관리, 활력징후 측정, 혈액 검사, 감염 예방, 환자 교육 등을 철저히 수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투석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