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환자실(ICU) 감염 관리와 간호술기 (감염과 예방법, 간호술기, 간호사의 역할)

by ddonglebubu3 2025. 2. 17.

가운과 장갑, 마스크를 착용한 의료진의 모습

중환자실(ICU)은 중증 환자들이 입원하는 곳으로 침습적 치료(인공호흡기, 중심정맥관, 도뇨관 등)와 면역 저하 상태가 많아 감염 위험이 매우 높은 환경입니다. 따라서 감염 예방 및 관리가 간호사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입니다. 감염이 발생하면 패혈증, 다기관 부전 등으로 사망률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철저한 감염 예방 수칙과 간호술기가 필요합니다.

중환자실(ICU) 감염 관리와 간호술기: 감염과 예방법

병원 내 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HAI)으로 입원 중 병원 환경에서 획득한 감염으로 ICU 환자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첫 번째 감염은 인공호흡기 연관 폐렴(VAP,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으로 인공호흡기 사용으로 인해 기도 내 감염이 발생합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30~45도 헤드업(head-up) 자세를 유지하고 기도 흡인(suction) 및 구강 관리를 철저히 시행해야 합니다. 그리고 인공호흡기 회로 및 가습기를 정기적으로 교체해줘야 합니다. 두 번째 감염은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CLABSI,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으로 중심정맥관 삽입 부위로 균이 침입하여 발생합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삽입 부위 소독(클로르헥시딘 등) 철저히 시행하고 필요시에만 중심정맥관 삽입을 유지해야 합니다. 멸균 장갑 및 가운을 착용한 후 삽입 및 드레싱 교체를 해야 합니다. 세 번째 감염은 도뇨관 관련 요로 감염(CAUTI,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으로 장기간 도뇨관 유지로 인해 균 감염이 발생합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필요시에만 도뇨관 삽입을 하고 조기에 제거해줘야 합니다. 또한 도뇨관 삽입 전후 손 위생 및 소독을 철저히 하고 소변 백을 지면에 닿지 않도록 유지해야 합니다. 네 번째 감염은 수술 부위 감염(SSI, Surgical Site Infection)으로 수술 부위에 세균이 감염되어 발생합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수술 부위 소독 및 멸균 드레싱을 유지하고 항생제를 적절히 투여하고 상처 관리를 철저히 시행해야 합니다.

중환자실(ICU) 감염 관리와 간호술기: 간호술기

첫 번째 간호술기는 손 위생(Hand Hygiene)을 철저히 시행하는 것입니다. 손 위생은 감염 예방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손 씻기 5가지 적응증(WHO)으로 환자 접촉 전, 무균 처치 전, 체액 노출 위험 후, 환자 접촉 후, 환자 주변 환경 접촉 후이 있습니다. 손 씻기 방법은 비누와 물 또는 알코올 손 소독제를 이용하여 30초 이상 문지르고 손가락, 손톱 밑, 손등까지 꼼꼼히 세척해줘야 합니다. 두 번째 간호술기는 개인 보호 장비(PP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착용으로 감염 유형에 따라 장갑, 마스크, 가운, 보호 안경 등을 착용합니다. 고위험 감염 환자 간호 시 격리 보호구도 착용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는 의료 기기 감염 예방 관리입니다. 인공호흡기 관리로 호흡기 회로 교체와 기도 흡인 시행이 있습니다. 정맥 카테터 관리는 무균적 삽입, 드레싱 유지, 필요시 제거하는 것이 있고 도뇨관 관리는 무균적 삽입 및 소변 백 위치 유지가 있습니다. 네 번째 간호술기는 격리 간호로 ICU에서는 환자의 감염 유형에 따라 격리 간호를 시행해야 합니다. 표준 감염 예방은 모든 환자에게 적용되고 공기 감염 예방은 결핵, 홍역 등에 해당하며 이 때 N95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비말 감염 예방은 독감, 코로나19 등에 해당하고 수술용 마스크를 착용하고 접촉 감염 예방는 MRSA, VRE 등이 해당하고 이때 가운과 장갑 착용을 해야 합니다.

중환자실(ICU) 감염 관리와 간호술기: 간호사의 역할

중환자실의 감염 예방을 위해 중환자실 간호사의 역할이 있습니다. 먼저 간호사 본인이 감염 예방 프로토콜에 준수하고 환자에게 교육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환자와 보호자에게 감염 관리 방법에 대해 미리 안내해 주고 멸균 환경을 유지하며 감염 발생 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다학제 팀(의사, 감염관리팀)과 협력하여 감염 예방 전략을 세우고 시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결론

중환자실(ICU)에서는 감염 예방이 환자의 생명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ICU 환자는 면역력이 약하고 다양한 침습적 치료를 받기 때문에 감염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손 위생, 개인 보호 장비 착용, 의료 기기 관리, 격리 간호 등을 철저히 수행해야 합니다. 간호사는 감염 예방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빠른 회복과 합병증 예방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