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도 삽관 시 간호사의 역할 (준비, 관리, 합병증 예방)

by ddonglebubu3 2025. 2. 14.

기도삽관은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고 인공호흡을 돕기 위해 시행되는 중요한 의료 처치입니다. 이 과정에서 간호사는 기도삽관 준비, 삽관 후 관리, 합병증 예방 등의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본 글에서는 기도삽관 시 간호사의 구체적인 역할과 올바른 관리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기도 삽관 시 간호사의 역할: 준비

기도삽관은 응급 상황에서 신속하게 시행되어야 하므로 간호사는 의료진이 원활하게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철저한 준비를 해야 합니다. 첫 번째로 기도삽관 전 환자 상태를 평가해야 합니다. 먼저 환자의 의식 수준(GCS, Glasgow Coma Scale)과 호흡 상태를 확인하고 산소포화도(SpO2), 호흡수, 혈압 등을 체크하여 기도확보가 필요한지를 판단합니다. 기도 폐색 여부를 평가하고 필요한 경우 기도 개방을 돕습니다. 두 번째로 기도삽관에 필요한 장비를 준비합니다. 기도삽관은 빠르고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하므로 다음과 같은 장비를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환자의 연령과 상태에 맞는 크기의 기도삽관 튜브를 준비하고 후두경 및 적절한 크기의 블레이드, 앰부배깅(Ambu bag)과 마스크를 준비합니다. 또한 튜브가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스타일렛을 준비하고 튜브 삽입 시 마찰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윤활제를 준비합니다. 그리고 삽관 위치 확인을 위한 청진기와 환자의 산소 포화도를 유지하기 위해 고농도 산소 공급 장치도 준비합니다. 기도 삽관 시 구강 내 분비물로 흡인이 될 수 있어 흡인기 및 카테터도 준비하고 고정 도구 (테이프, 튜브 홀더 등)도 준비합니다. 세 번째는 의료진과의 협력으로 의사의 기도삽관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도구를 순서대로 전달합니다. 기도삽관 전 산소를 100% 공급(Preoxygenation) 하여 저산소증을 예방합니다. 필요시 Cricoid pressure(셀릭 기법)를 적용하여 위 내용물의 역류를 방지합니다.

기도 삽관 시 간호사의 역할: 관리

기도삽관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후에도 간호사는 환자의 호흡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기도 확보가 유지되도록 해야 합니다. 첫 번째로 삽관 위치 확인 및 고정을 합니다. 기도삽관 후 가장 중요한 것은 튜브가 올바르게 삽입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청진을 통해 양쪽 폐의 호흡음이 고르게 들리는지 확인합니다. 그리고 이산화탄소를 측정하는데 카프노그래피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 배출 여부를 확인하고 흉곽 움직임을 관찰하여 대칭적으로 움직이는지 평가합니다. X-ray 촬영을 통해서도 튜브 끝이 기관 내 적절한 위치(약 T3-T4)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튜브가 움직이지 않도록 테이프 또는 전용 고정 장치로 안전하게 고정합니다. 두 번째는 인공호흡기(ventilator) 설정 및 모니터링입니다.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산소 농도(FiO2), 호흡수(RR), 일회호흡량(Tidal Volume, VT) 등을 설정합니다. 인공호흡기의 알람이 울리는 경우 원인을 파악하고 즉각 조치해야 합니다. 세 번째는 구강 및 기관 내 흡인 관리로 기도삽관 후에는 분비물이 기도 내에 쌓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정기적인 흡인이 필요합니다. 흡인의 원칙은 필요할 때만 시행하며 10~15초 이내로 신속하게 진행합니다. 또한 무균적 방법을 적용해서 감염 예방을 위해 멸균된 흡인 카테터를 사용하고 환자 모니터링를 통해 흡인 후 산소포화도와 호흡 상태를 평가합니다. 네 번째는 피부 및 점막 손상 예방으로 장기간 삽관 시 구강 점막이나 입술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위치를 바꿔줍니다. 튜브 압박으로 인해 구강궤양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강 간호를 철저히 수행합니다.

기도 삽관 시 간호사의 역할: 합병증 예방

기도삽관은 필수적인 처치이지만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첫 번째로 기도 폐쇄 및 튜브 이동을 방지합니다. 튜브가 벗겨지거나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고정을 철저히 합니다. 환자가 의식이 회복되면서 튜브를 자가 제거하려는 행동을 보일 수 있으므로 필요시 부드러운 억제대 적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두 번째는 감염 예방으로 인공호흡기 연관 폐렴(VAP,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을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인 구강 청결 유지가 중요합니다. 손 씻기 및 무균적 간호를 실천하여 감염 위험을 줄입니다. 세 번째는 저산소증 예방으로 기도 내 흡인 시 산소포화도(SpO2)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필요시 100% 산소를 공급하여 환자의 산소 부족을 방지합니다. 네 번째는 기압성 폐손상(barotrauma) 예방으로 인공호흡기의 압력 설정을 정기적으로 확인하여 과도한 압력으로 인해 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합니다. 마지막은 기도삽관 실패 시 대처방법으로 반복 삽관 시도는 기도 부종을 초래할 수 있어 3회 이상 실패할 경우 기도 확보 방법을 변경해야 합니다. 대체 방법으로 후두마스크 기도(LMA)를 사용하거나 관절개술(tracheostomy) 고려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결론

기도삽관은 응급 상황에서 필수적인 처치이며 간호사는 기도확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기도삽관 전 장비를 철저히 준비하고 삽관 후에는 튜브의 위치와 환자의 호흡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또한 감염 예방 및 합병증 관리를 철저히 하여 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기도삽관 간호의 핵심은 빠르고 정확한 대응, 철저한 감시, 환자 안전 유지입니다. 의료진과 협력하여 효과적인 기도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환자의 생명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